-
명품구매대행 판매가는 이렇게 구하면 됩니다(2) - 완독자 선물포함명품구매대행사업 2023. 4. 11. 00:45
안녕하세요 마잌지로입니다
'대체 얼마에 팔아야 하지? '
정말 많은 분들이
어려워 하시는 '판매가 계산'
이처럼 판매가를 구하는게 어려운 이유는
크게 두가지입니다
첫번째는 어떻게 계산하는지 그 공식을 모르시는 경우
두번째는 적정한 마진율을 모르시는 경우입니다
판매가 구하는 공식과
그 요소들은
앞선 글에 정리해두었으니 참고하시면 되며
오늘은 나머지 항목들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https://jiro101.tistory.com/70
명품구매대행 판매가는 이렇게 구하면 됩니다(1)
안녕하세요 마잌지로입니다 초보분들이 가장 어려워하시는 것중에 하나가 바로 판매가를 정하는 것입니다 어려워 하시는 이유는 크게 두가지 때문인데요 첫번째는 어떠한 요소를 사용해 계산
jiro101.tistory.com
-
이제 여러분들이 아셔야하는 항목은
플랫폼 수수료, 세금 그리고 적정 마진입니다
먼저 플랫폼 수수료는
일종의 '자릿세'라고 보시면 됩니다
명동 한복판의 임대료와
시골 변두리 외각 임대료가 다르듯
플랫폼도 그 수수료가 다 다른데요
일단 대표적으로 네이버의 경우
보통 판매가의 6% 정도 받고 있습니다
여기서 많이 헛갈려 하시는 부분이
어디에 이 6%가 붙는지 인데요
원가가 아닌 판매가에서 6%가 붙습니다
예를 들어 80만원 짜리를 100만원에 팔경우
100만원의 6%인 6만원이 네이버 수수료인 셈이죠
따라서 원가에 단순히 6%를 더하시면
네이버 수수료를 적게 예상하여
실제 마진이 생각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원가80만원에 단순히
6%를 곱할 경우
80만원 X (1+네이버수수료 6%) = 84.8만원이 되지만
판매가 100만원의 6%를 더하게 되면
80만원 + (100만원 판매가의 6%) = 86만원이되어
실제 수수료를 반영 시 원가가 더 높아집니다
따라서
반드시 판매가를 기준으로
수수료를 원가를 계산하셔야 합니다
발란이나 리본즈 등
명품 플랫폼들은 보통 8~11% 였는데
올해 많이 올려서
11번가 같은 MD몰과 비슷한 수준인
13~16% 정도의
수수료를 받고 있습니다
-
세금의 경우
일단 우리가 사업을 하면
어떤 세금을 내야하는지
간단하게 정리가 필요합니다
먼저 부가가치세를 내야하고
그 다음에 소득세를 내야합니다
모든 제품을 판매할 때
제품에 세금을 붙여 판매해야하는데요
이때의 세금을 부가가치세 즉 줄여서 부가세라고 합니다
그리고 사업으로 얻은 소득에 대해서도
나중에 세금을 내야하는데
이게 바로 소득세이구요
보통 소득세는 판매가 계산 시 포함하지 않습니다
부가세는 판매가의 몇%로 계산되지만
소득세는 소득 구간에 따라 달라
사전에 계산하기 어렵기 때문이죠
우리는 판매가 계산 시
부가가치세만 반영하면 됩니다
(물론 소득세 납부 시기에 맞춰
현금을 보유하셔야 무리 없이 납부가 가능합니다만
오늘의 주제는 판매가이므로 이 부분은 생략합니다)
-
일단 부가세는 기본적으로는
판매가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하지만 구매대행업의 경우에는
세법에 따라 예외적으로 특혜를 받는데요
바로 판매가가 아닌
마진을 기준으로 세금이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부가세율이 10%일때
80만원 제품을 100만원에 판매한다고 가정하면
위탁판매나 사입의 경우 판매가 100만원의
10%인 10만원을 부가세로 납부해야합니다
그러나 구매대행은 예외적으로
마진을 기준으로 계산되므로
100-80만원인 20만원의 10%인
2만원만 납부하면 되죠
이처럼 해외구매대행은
부가세에 있어 특혜를 받기 때문에
같은 80만원짜리 제품을 100만원에 팔아
20만원의 마진을 남겨도
구매대행으로 팔았는지에 따라
세금이 몇배씩 차이가 납니다
부가세율은 보통 단순하게 10%로
잡고 계산하시는게 좋습니다
식으로 써보면 다음과 같죠
구매대행 부가세 = (판매가 - 제품원가(현지가격+배송비+공급업체 수수료)) X 10%
여기서 주의하셔야할게
두가지 있습니다
첫번째로
바로 부가세 계산 시
플랫폼의 수수료는 고려하면 안됩니다
플랫폼의 수수료는
향후 우리의 사업 소득세 계산 시
국세청에서 자동으로 반영하기 때문에
부가세 단계에서 우리가 반영하면
중복 반영되어 세금이 축소신고 될 수 있습니다
두번째로 판매형태가
엄격한 구매대행의 요건을
갖추어야합니다
위에 말씀드린데로
판매 시 부가세는
원칙적으로 '판매가'가 기준입니다
구매대행만 예외적으로
'마진'이 기준이 되어
부가세가 덜 나오는 특혜를 받습니다
이처럼 특혜를 주기 때문에
구매대행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엄격한 요건을 갖추어야하는데요
조건을 살펴보면 아래 4가지와 같습니다
- 고객의 주문 다음에 제품 구매
- 구매처가 해외
- 제품이 국내 판매자를 거치지 않고 고객에게 바로 전달
- 사업자 등록 시 해외구매대행업으로 등록
간혹 미리 구매 후 해외에서 보관 후
고객 주문이 오면 바로 발송하거나,
제품을 셀러가 받아 선물을 추가한 후
재포장 하여 고객에게 보내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 경우 세법 상 해외구매대행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마진이 아닌 판매가를 기준으로
부가세를 계산하셔야합니다
-
지금까지의 요소들을
식으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판매가 = 판매자의 비용 + 판매자의 마진
판매자의 비용 = 구매비 + 국제배송비 + 플랫폼 수수료(판매가X수수료율) + 세금(부가세) + 마진
* 부가세 = (판매가 - 제품원가(현지가격+배송비+공급업체 수수료)) X 10%
-
이제 마진을 어느정도로 넣느냐만
알면 됩니다
먼저 판매 실력이 늘수록
당연히 높은 마진을 붙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초보일때는
보통 10% 내외를 붙이시는걸 권해드립니다
제가 가르쳐드린 아카데미 2기의
수강생의 경우
1700만원 매출, 마진율 15%가
나오셨습니다
초반에는 10% 대에 판매를 하시고
소싱과 판매의 노하우가 생기고
리뷰가 좀 쌓이면서
마진율을 높이는 전략을 추천드립니다
여기서 가끔 헛갈리시는게
이때의 10, 15%는
판매가 대비 10, 15%를 의미합니다
간혹 원가 대비 구하시는 분이 계신데
이 경우 마진율이
실제보다 더 커지는 오류가 생길 수 있습니다
-
이제 판매가 계산을 위한
공식과 모든 항목을 알아보았고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판매가 = 판매자의 비용 + 판매자의 마진판매자의 비용 = 구매비 + 국제배송비 + 플랫폼 수수료(판매가X수수료율) + 세금(부가세) + 마진
* 부가세 = (판매가 - 제품원가(현지가격+배송비+공급업체 수수료)) X 10%
* 마진 = 판매가 X ((판매가 - 판매자의 비용) / 판매가)
-
가격에 대해 정리하다보니
생각보다 길어졌습니다
여기까지 읽으셨으면
그래도 열심히 하시는 분들일텐데
제가 하나라도 더 도와리는게 맞겠죠
여태까지 설명드린 산식이 적용된
엑셀파일을 공유드립니다
K열과 L열의 판매가와 판매배송비를 조정하시면
V열의 수익율이 자동으로 계산되므로
원하는 수익율에 맞춰서 판매가와 배송비를 넣으시면 됩니다
또한 공급업체 할인율, 수수료는 사용하시는 업체 서비스에 따라
제품 현지가, 환율, 제품 배송비는 제품과 바잉 국가에 맞게
넣으시면 됩니다
아래의 링크 클릭 후
화면 상단 좌측의 파일 - 다운로드 - microsoft excel을
누리셔서 다운을 받으시면 됩니다
공유 요청하실 필요 없이
그냥 다운 받으시면 됩니다
(공유요청하지 마세요~ 사용법도 위에 써놨습니다)
명품마진율계산기_마잌지로 - 복사본.xlsx
Sheet1 제품명,글자수,제품현지가 ,환율,제품한화,공급업체할인율,공급업체수수료,공급업체구매금액,제품배송비,최종구매가,판매가격,판매배송비,실제판매가,표시가 ,할인표시액,마켓수수료율,
docs.google.com
-
지난 3개월간 도와드린
마잌지로 아카데미 2기분들도
모두 매출이 나며 성공적으로 마무리 하였습니다
모든 구매대행이 그렇듯이
명품구매대행도
올바른 지식을 가지고
꾸준히만 하면 성공할 수 있습니다
하루하루
원하시는 목표를 이루는
삶이 되시길 바랍니다
힘내세요
감사합니다
'명품구매대행사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품구매대행 초보 대상 스트리밍 교육 안내 (4) 2023.04.12 2023년 명품구매대행 시작하기 근데 자사몰을 곁들인 (1) - 한달만에 100만원 추가 수익 확보 (4) 2023.04.12 명품구매대행 판매가는 이렇게 구하면 됩니다(1) (4) 2023.04.05 명품구매대행을 시작하시려는 분들이라면 꼭 보세요 (7) 2023.03.12 바잉 완료 후 고객이 취소를 요구할때 방어법 (17) 2023.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