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명품구매대행 판매가는 이렇게 구하면 됩니다(1)
    명품구매대행사업 2023. 4. 5. 23:19

     

    안녕하세요 마잌지로입니다 

     

    초보분들이 가장 어려워하시는 것중에 하나가 

    바로 판매가를 정하는 것입니다 

     

    어려워 하시는 이유는 

    크게 두가지 때문인데요

     

    첫번째는 어떠한 요소를 사용해 계산하는지 

    정말 말 그대로 '계산하는 방법'을 모르는 것이고 

     

    두번째는 판매가 되는 '적정 마진'을 모르시는 것입니다 

     

    오늘은 이 두가지에 대해서 글로 정리해보겠습니다 

     

    -

     

    세상 모든 상품의 판매가는 

    아래와 같이 정의됩니다 

     

    판매가 = 판매자의 비용 + 판매자의 마진

     

    여러분들이 어떠한 재화나 서비스를 팔기위해 

    들어간 모든 비용에 마진을 더한것 

    그것이 판매가인것죠 

     

    세상 모든 상품가는 본질적으로 

    다 아래의 공식을 통해  결정됩니다 

     

    판매가 = 판매자의 비용 + 판매자의 마진

     

    지금부터 이 식을 '판매가 기본공식' 이라고 부르겠습니다 

     

    이제 우리는 '비용'에 어떤 요소가 들어가는지

    그리고 

    '적정 마진'은 얼마나 되는지만 알면 되는거죠 

     

    -

    여러분들이 빵집을 차린다고 가정해보시죠

    어떤 요소들이 비용에 포함되어야할까요

     

    빵을 굽기위해 들어간 모든 비용일겁니다

     

    버터나 밀가루 등 재료비와   

    가게에 필요한 전기세, 수도료

    그리고 건물 임대료도 들어가구요 

    나중에 납부해야할 세금도 포함되어야겠죠  

    이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비용 = 재료비 + 전기, 수도 등 인프라 비용 + 임대료 + 세금 

     

    이러한 식에 

    구매대행의 요소들의 그대로 대입해보면 

    아래와 같죠

     

    재료비 = 현지에서 명품을 구매하는 비용 

    인프라 비용 = 해외에서 한국으로 제품을 보내는 배송비 

    임대료 = 네이버 등 플랫폼 수수료

    세금 = 부가세 

     

    즉 우리가 명품구매대행으로 판매하기 위해 

    들어가는 비용은 

    크게 명품 그 차제를 구매하는 구매비용과 

    국제 배송비, 플랫폼 수수료 그리고 세금 

    이렇게 4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제 처음 보여드린 '판매가 기본공식'을 다시 보시죠 

     

    판매가 = 판매자의 비용 + 판매자의 마진

     

    이걸 풀어써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판매가 = 판매자의 비용(구매비+ 국제배송비+플랫폼 수수료 + 세금) + 판매자의 마진 

     

    우리는 여기서 

    구매비 / 국제배송비 / 플랫폼 수수료 / 세금 

    그리고 마진을 알면 되는거죠

     

    이제 디테일로 들어가보겠습니다 

     

     

    '구매비' 

     

    많은 분들이 어려워하시는 부분입니다 

     

    사실 해외에 거주하시면서 

    명품 공식 매장에서 정가 주고 사서

    한국으로 보내는 경우에는 

    그냥 공식 홈페이지 가격이 구매비용이 될겁니다 

     

    하지만 저를 포함해서 많은 셀러분들은 

    한국에 살면서 '공급업체'를 통해 

    유럽현지에서 구매 후 한국으로 보내고 있죠

     

    이러한 '공급업체'들은 

    대부분

    현지 정가에서 특정 비율만큼

    할인된 가격으로 공급해줍니다 

     

    모든 상품에는 세금이 붙어 있는데요 

    정식 수출 절차를 거쳐 해외로 제품을 보낼 경우 

    예외적으로 제품가에 붙어 있는 세금을

    제외하고 보낼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유럽에서 공급업체가

    100만원짜리 제품을 매장에서 구매해서 해외로 보낼때

    제품가 100만원 중 10만원이 세금이였다면 

    유럽 국가들로부터 이 10만원 세금을 

    환급받게 되죠

     

    이러한 환급제도를 통해 공급업체들은 

    저희같은 셀러들에게

    현지정가보다 저렴한 가격에 

    공급이 가능한 것입니다 

     

    만약 특정 공급업체의 할인율이 10%라면 

    현지 정가에서 10% 할인되는 금액에

    매하게 되는 거죠

     

    현지 정가는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간단합니다 

    브랜드들의 현지 공식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바로 확인할 수 있죠 

     

    샤넬, 고야드 등 아주 소수의 브랜드를 제외하면 

    대부분 공식 홈페이지에서 현지 가격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해외 공홈 주소는 구글에서 브랜드 + 국가 로 검색하면 나옵니다

    실제 상품을 예로 같이 보시죠 

     

    먼저 아래 구찌 제품의

    유럽 현지 가격은 1390유로인걸 

    집에서 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공급업체인 '유로살롱' 을 예시로 보면 

    이 업체는 프랑스 기준으로 9.5%의 할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1~3% 공급 수수료를 받고 있죠 

     

    그러면 제가 유로살롱을 통해

    위 제품 구매 시 해당 비용은 

    '1390 유로 X 환율(1400원 가정) X (1-.9.5%+3%)' 가 됩니다  

     

    식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해외 현지 정가  X  환율 X (1-할인율+구매수수료)' 

     

    위 구찌 가방의 경우

    실제로 계산해보니 

    1,819,510 원이네요 

     

    하나 더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셀린느의 인기 제품 아바 호보백은 

    오늘 기준 유럽 현지가가 1,300 유로입니다 

     

    '해외 현지 정가  X  환율 X (1-할인율+구매수수료)' 


    현지정가 = 1300 유로 

    환율 = 1400가정 

    할인율 = 9.5% 
    구매수수료 = 3% 


    1300 x 1400 x (1-9.5%+3%) = 1,701,700

    이렇게 넣고 계산하면 약 170만원이 나오네요

    이런식으로 현지정가/환율/공급업체의 할인율과 수수료만 알면

    내가 얼마에 명품을 현지에서 구매할 수 있는지 

    계산이 가능합니다 



    이쯤에서 '판매가 기본식'을 다시 보겠습니다 

     

    판매가 = 판매자의 비용 + 판매자의 마진

     

    이제 이걸 풀어써보면 아래와 같죠

     

    판매가 = 판매자의 비용(구매비+ 국제배송비+플랫폼 수수료 + 세금) + 판매자의 마진 

     

    우리는 이제 '구매비'가 어떻게 계산되는지 압니다 

    바로 '구매비 = 해외 현지 정가  X  환율 X (1-할인율+구매수수료)' 이죠 

    이를 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이 '판매가 기본식'을 풀어 쓸 수 있습니다 

     

    판매가 = 판매자의 비용(구매비(해외 현지 정가  X  환율 X (1-할인율+구매수수료)) + 국제배송비
                   +플랫폼 수수료 + 세금) + 판매자의 마진 

     

    -

     

    국제배송비는 제품의 크기와 부피에 따라 다른데 

    대략 작은 카드지갑 같은건 3만원

    가방은 5~6만원  

    패딩이나 코트는 7~9만원 정도입니다 

     

    가방의 경우 6만원으로 가정하고 

    위에 보여드린 구찌와 셀린느 가방의 가격에 더하면 

    구찌 가방은 약 188만원이고 

    셀린느 가방은 약 176만원이 됩니다 

     

    이쯤에서 이 가방들이

    한국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얼마에 팔리는지 궁금하시죠? 

     

    먼저 구찌 가방은 한국 공홈 가격이 211만원입니다 

    저희는 188만원 들여올 수 있으니 

    대략 30만원 정도 저렴한셈입니다 

     

    셀린느 아바 호보백 같은 경우 

    저는 176만원에 들여오는데 

    한국 공홈에 가면 무려 230만원에 팔고 있군요 

    대략 45만원이나 비싸네요 

     

    물론 모든 명품의 한국 공홈가격이 비싼건 아닙니다 

    하지만 이렇게 보여드린 제품처럼 

    저희가 들여오는 공급비와 배송료를 합쳐도 

    한국 공홈가격이 높은 제품을 찾는게 

    그렇게 어려운 일은 아닙니다 

     

    -

     

    우리는 지금 명품구매대행 시 

    판매가를 책정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하고 있습니다 

     

    다시 기본식으로 돌아가볼까요? 

     

    판매가 = 판매자의 비용 + 판매자의 마진

     

    이를 풀어쓰면 다음과 같습니다

    판매가 = 판매자의 비용(구매비+ 국제배송비+플랫폼 수수료 + 세금) + 판매자의 마진 

    여기서 구매비가 어떻게 나오는지 배우셨죠?
    구매비 = 해외 현지 정가  X  환율 X (1-할인율+구매수수료) 니까 

    이를 대입하면, 

     

    판매가 = 판매자의 비용(구매비+ 국제배송비+플랫폼 수수료 + 세금) + 판매자의 마진 
                = 판매자의 비용(구매비(해외 현지 정가  X  환율 X (1-할인율+구매수수료)) + 국제배송비
                   +플랫폼 수수료 + 세금) + 판매자의 마진 

    입니다 

     

     

    이제 여러분들은 플랫폼 수수료와 세금 판매자의 마진만 알면 

    판매가를 스스로 계산하실 수 있죠 

     

    쓰다보니 글이 길어져 

    이부분은 다음 글로 정리하겠습니다 

     

    다음 글에서 뵙겠습니다 

    오늘도 힘내세요 ! 

     

    3줄 요약 
    - 판매가 = 판매자의 비용 + 판매자의 마진

    - 판매자의 비용 = 구매비 + 국제배송비 + 플랫폼 수수료 + 세금

    - 구매비 = 해외현지정가 X 환율 X (1-할인율+구매수수료)

Designed by Tistory.